(디지털디자인) UI/UX 디자인 및 개발(웹, 앱, 피그마)
(스마트웹&콘텐츠개발) 프론트엔드 개발자(자바스크립트,리엑트)
(디지털디자인) UX/UI 반응형 웹디자인 &웹퍼블리셔(디자인&코딩) 실무 프로젝트
기업요구 프로젝트 중심 웹 UIUX 분석 기획 개발자 양성과정
(혼합+디지털디자인) UI/UX 반응형 웹디자인 &웹퍼블리셔(디자인&코딩) 양성 A
(디지털디자인) UIUX 디자이너를 위한 웹디자인(피그마 활용) &웹퍼블리셔 실무 양성
웹퍼블리셔(HTML5+CSS, Javascript, J-Query)양성과정
![]() |
20세기 타이포그래피의 대가라고 불리는 얀 치홀트(Jan Tschichold). 그가 환갑이 넘은 나이에 개발한 서체 \'사봉(Sabon)\'은 타이포그래퍼로서 지내온 시간만큼 모든 연구와 경험이 녹아 들어있는 서체이다. 오늘은 \'얀 치홀트\'를 대표하는 우아하면서 가독성이 뛰어난 서체, \'사봉\'에 대해 알아보자. 기사제공 | 타이포그래피 서울 |
![]() |
타고난 타이포그래퍼, \'얀 치홀트\' 독일의 한 레터링 아티스트의 아들로 태어난 얀 치홀트는 어렸을 때부터 글자에 관심이 많았다. 독일에 있는 라이프치히 미술 아카데미(Hochschule fur Grafik und Buchkunst)에서 공부하고 타이포그래퍼의 길로 들어섰다. 1923년, 바이마르에서 열린 바우하우스 전시회 관람 후 *뉴 타이포그래피에 매료되어 1928년 새로운 사상을 인쇄업계에 설명하는 실용적인 책, <뉴 타이포그래피>를 저술하기도 하였다. 또한, 그는 1925년에 잡지 <타이포그래픽 뉴스>에 \'타이포그래피의 원리\'를 발표, 체계적 이론정립에도 앞장섰다. 그 이론은 현재까지 전 세계 디자인 학교에서 타이포그래피 이론의 기본으로 설명되고 있다. *뉴 타이포그래피: 이전의 중축적 장식에서 탈피한 기능적인 비대칭 타이포그래피의 대표. 텍스트를 합리적으로 디자인하려 노력. 전달의 목적, 언어 가치의 강조, 내용의 논리적 유용성, 그리고 가독성을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삼아 비대칭(unsimmetry)의 리듬과 현대적 활자인 산 세리프를 사용해 독자의 시선을 유도할 수 있도록 디자인. |
![]() |
10여 년 후인 1933년, 그는 모더니즘에 대한 나치의 박해로 스위스 바젤로 이주하게 된다. 그 후, 그는 뉴 타이포그래피 사상이 어딘가 파시즘(국수주의적·권위주의적·반공적인 정치적 주의 및 운동)과 닮았다고 생각하여 그 신념을 버리고 전통 타이포그래피를 다시 연구하기 시작하며 뉴 타이포그래피에서 사용하지 않던 세리프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. 그는 타이포그래피 디렉터로 일하게 되면서 실용 타이포그래피에 대해 더욱 진지한 자세와 전문적 식견을 갖추게 되었고, 북 타이포그래피의 장인으로 인정받기 시작한다. 그의 대표 서체인 \'사봉\'은 1960년 독일 인쇄업자위원회에서 새로운 본문 서체 개발요청으로 인해 시작되어 1964년 제작에 착수, 그리고 1967년 세상에 선보이게 되었다. 개발 당시 이미 환갑이 넘었던 얀 치홀트에게는 이 일이 그의 모든 타이포그래피 인생을 고스란히 녹여내는 일이었을 것이다. 북 타이포그래퍼로서 명성은 떨친 그는 1954년 미국 그래픽아트협회로부터 금상 수상, 런던의 왕립미술협회(Royal Society of Art)에서 \'명예 왕실 공예 디자이너(H.R.D.)\'칭호를 부여받기도 하였으며, 1956년에는 구텐베르크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. |
![]() |
우아하면서도 가독성이 높은 \'사봉\' 사봉은 서체의 독특함이나 효율성이 아닌 알파벳 자소들이 가진 고유의 아름다움과 조화로움을 위주로 작업 되었다. \'가라몬드(Garamond)\'에 기반을 둔 서체로 가라몬드의 우아함을 유지하면서 소문자의 일정한 크기와 글자의 굵기가 조화로워 더욱 가독성을 높여주기 때문에 굉장히 우수한 본문용 서체로 평가받고 있다. 또한, 가라몬드보다 5% 정도 폭이 좁기에 경제적인 서체이기도 하다. 사봉이라는 이름은 그 당시 무수히 많던 다른 가라몬드 서체들이나 가라몬드 제자의 활자체인 \'그랑졍(Granjan)\'과 혼동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한 때 가라몬드의 제자였던 \'자크 사봉(Jaques Sabon)\'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. 그가 바탕을 두었던 가라몬드의 견본이 자크 사봉이 재디자인한 1592년 활자 견본이기 때문이다. 사봉은 독일이 아닌 미국에서 더 많이 보급되었는데, 이유는 미국의 그래픽 디자이너인 \'브래드버리 톰슨(Bradbury Thompson)\'이 디자인한 성경 때문이었다. 성경 특성상 대량으로 인쇄되어 오랫동안 사용되기 때문에 대중들에게 익숙함을 제공하는 계기가 되었다. 또한, 패션 잡지 <보그>의 본문용 서체로 사용되며 더욱 사랑을 받았다. |
![]() |
현재는 서체 디자이너인 장 프랑수아 포르셰(Jean Francios Porchez)가 다듬어 \'사봉 넥스트(Sabon Next)\'라는 이름으로 패밀리 폰트를 출시했으며, 어도비(Adobe)사에서도 다양한 버전으로 배포하고 있다. 또한, 2013년에 스티브 맷슨이 온라인과 E-book 특성에 걸맞게 다듬어 사용되기도 한다. ▶ \'사봉\'구매하러 가기 ▶ 스티브 맷슨의 \'사봉\'구매하러 가기 ![]() |